mirror of
https://github.com/SoftFever/OrcaSlicer.git
synced 2025-08-05 13:04:03 -06:00
kor_translation update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parent
5a689169d8
commit
1da3c58823
1 changed files with 148 additions and 141 deletions
|
@ -114,8 +114,8 @@ msgid ""
|
|||
"Filament count exceeds the maximum number that painting tool supports. only "
|
||||
"the first %1% filaments will be available in painting tool."
|
||||
msgstr ""
|
||||
"필라멘트수가 페인팅 도구가 지원하는 최대수를 초과합니다. 첫 번째 %1% 필라멘트"
|
||||
"만페인팅 도구에서 사용할수 있습니다."
|
||||
"필라멘트수가 페인팅 도구가 지원하는 최대수를 초과합니다. 첫 번째 %1% 필라멘트만"
|
||||
"페인팅 도구에서 사용할수 있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Color Painting"
|
||||
msgstr "색 칠하기"
|
||||
|
@ -563,7 +563,8 @@ msgstr "구성 패키지가 로드되었지만, 일부 값이 인식되지 않
|
|||
#, boost-format
|
||||
msgid ""
|
||||
"Configuration file \"%1%\" was loaded, but some values were not recognized."
|
||||
msgstr "구성 파일 \"%1%\"가 로드되었지만 일부 값이 인식되지 않았습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구성 파일 \"%1%\"가 로드되었지만 일부 값이 인식되지 않았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V"
|
||||
msgstr "V"
|
||||
|
@ -610,8 +611,7 @@ msgid ""
|
|||
"features.\n"
|
||||
"Click Yes to install it now."
|
||||
msgstr ""
|
||||
"Orca Slicer의 특정 기능이 작동하려면 Microsoft WebView2 Runtime이 필요합니"
|
||||
"다.\n"
|
||||
"Orca Slicer의 특정 기능이 작동하려면 Microsoft WebView2 Runtime이 필요합니다.\n"
|
||||
"지금 설치하려면 예를 클릭하세요."
|
||||
|
||||
msgid "WebView2 Runtime"
|
||||
|
@ -1171,7 +1171,8 @@ msgstr "개체별 설정 모드로 전환하여 수정자 설정을 편집합니
|
|||
msgid ""
|
||||
"Switch to per-object setting mode to edit process settings of selected "
|
||||
"objects."
|
||||
msgstr "개체별 설정 모드로 전환하여 선택한 개체의 프로세스 설정을 편집합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개체별 설정 모드로 전환하여 선택한 개체의 프로세스 설정을 편집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Delete connector from object which is a part of cut"
|
||||
msgstr "잘라내기의 일부인 개체에서 커넥터 삭제"
|
||||
|
@ -1199,8 +1200,7 @@ msgstr ""
|
|||
"이 조치는 잘라내기 연결을 끊습니다.\n"
|
||||
"그 이후에는 모델 일관성을 보장할수 없습니다.\n"
|
||||
"\n"
|
||||
"꽉찬 부품 또는 비우기 용량으로 조작하려면 먼저 잘라내기 정보를 무효화해야 합"
|
||||
"니다."
|
||||
"꽉찬 부품 또는 비우기 용량으로 조작하려면 먼저 잘라내기 정보를 무효화해야 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Delete all connectors"
|
||||
msgstr "모든 커넥터 삭제"
|
||||
|
@ -1610,7 +1610,8 @@ msgstr "정렬 중..."
|
|||
|
||||
msgid ""
|
||||
"Arrange failed. Found some exceptions when processing object geometries."
|
||||
msgstr "정렬에 실패했습니다. 개체 형상을 처리할 때 일부 예외를 발견했습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정렬에 실패했습니다. 개체 형상을 처리할 때 일부 예외를 발견했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Arranging"
|
||||
msgstr "정렬 중"
|
||||
|
@ -1711,7 +1712,8 @@ msgstr "Ftp에 파일을 업로드하지 못했습니다. 다시 시도해 주
|
|||
|
||||
msgid ""
|
||||
"Check the current status of the bambu server by clicking on the link above."
|
||||
msgstr "위의 링크를 클릭하여 Bambu Lab 서버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십시오."
|
||||
msgstr ""
|
||||
"위의 링크를 클릭하여 Bambu Lab 서버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십시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The size of the print file is too large. Please adjust the file size and try "
|
||||
|
@ -1864,7 +1866,7 @@ msgid ""
|
|||
msgstr ""
|
||||
"Orca Slicer는 Prusa Research의 PrusaSlicer에서 나온 Bambulab의 BambuStudio를 "
|
||||
"기반으로 합니다. PrusaSlicer는 Alessandro Ranellucci와 RepRap 커뮤니티의 "
|
||||
"Slic3r에서 제작되었습니다"
|
||||
"Slic3r에서 제작되었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Libraries"
|
||||
msgstr "라이브러리"
|
||||
|
@ -1874,7 +1876,7 @@ msgid ""
|
|||
"proprietary rights belong to their respective owners"
|
||||
msgstr ""
|
||||
"이 소프트웨어는 저작권 및 기타 소유권이 해당 소유자에게 속한 오픈 소스 구성 "
|
||||
"요소를 사용합니다"
|
||||
"요소를 사용합니다."
|
||||
|
||||
#, c-format, boost-format
|
||||
msgid "About %s"
|
||||
|
@ -2051,7 +2053,8 @@ msgstr "AMS 슬롯"
|
|||
|
||||
msgid ""
|
||||
"Note: Only the AMS slots loaded with the same material type can be selected."
|
||||
msgstr "참고: 동일한 재료 유형으로 장착된 AMS 슬롯만 선택할수 있습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참고: 동일한 재료 유형으로 장착된 AMS 슬롯만 선택할수 있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Enable AMS"
|
||||
msgstr "AMS 사용"
|
||||
|
@ -2097,7 +2100,8 @@ msgstr ""
|
|||
|
||||
msgid ""
|
||||
"Config which AMS slot should be used for a filament used in the print job"
|
||||
msgstr "출력 작업에 사용되는 필라멘트에 사용할 AMS 슬롯 구성"
|
||||
msgstr ""
|
||||
"출력 작업에 사용되는 필라멘트에 사용할 AMS 슬롯 구성"
|
||||
|
||||
msgid "Filament used in this print job"
|
||||
msgstr "이 출력 작업에 사용된 필라멘트"
|
||||
|
@ -2123,7 +2127,8 @@ msgstr "섀시 뒷면에 필라멘트를 장착하여 출력"
|
|||
msgid ""
|
||||
"When the current material run out, the printer will continue to print in the "
|
||||
"following order."
|
||||
msgstr "현재 재료가 소진되면 프린터는 다음 순서로 계속 출력합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현재 재료가 소진되면 프린터는 다음 순서로 계속 출력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Group"
|
||||
msgstr "그룹"
|
||||
|
@ -2363,7 +2368,8 @@ msgstr "선택한 파일에 형상이 없습니다."
|
|||
|
||||
msgid ""
|
||||
"The selected file contains several disjoint areas. This is not supported."
|
||||
msgstr "선택한 파일에 여러 개의 분리된 영역이 있습니다. 지원되지 않습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선택한 파일에 여러 개의 분리된 영역이 있습니다. 지원되지 않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Choose a file to import bed texture from (PNG/SVG):"
|
||||
msgstr "베드 텍스쳐를 불러올 파일 선택(PNG/SVG):"
|
||||
|
@ -2387,7 +2393,8 @@ msgstr ""
|
|||
msgid ""
|
||||
"Recommended nozzle temperature of this filament type is [%d, %d] degree "
|
||||
"centigrade"
|
||||
msgstr "이 필라멘트 유형의 권장 노즐 온도는 [%d, %d]°C입니다"
|
||||
msgstr ""
|
||||
"이 필라멘트 유형의 권장 노즐 온도는 [%d, %d]°C입니다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Too small max volumetric speed.\n"
|
||||
|
@ -2608,7 +2615,7 @@ msgid "Paused due to AMS lost"
|
|||
msgstr "AMS 손실로 인해 일시중지됨"
|
||||
|
||||
msgid "Paused due to low speed of the heat break fan"
|
||||
msgstr "방열팬 속도가 느려 일시중지되었습니다"
|
||||
msgstr "냉각팬 속도가 느려서 일시중지되었습니다"
|
||||
|
||||
msgid "Paused due to chamber temperature control error"
|
||||
msgstr "챔버 온도 제어 오류로 인해 일시 중지되었습니다"
|
||||
|
@ -4479,8 +4486,8 @@ msgid ""
|
|||
"Enabling traditional timelapse photography may cause surface imperfections. "
|
||||
"It is recommended to change to smooth mode."
|
||||
msgstr ""
|
||||
"전통적인 타임랩스 사진을 사용하면 표면 결함이 발생할수 있습니다.부드러운 모드"
|
||||
"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."
|
||||
"전통적인 타임랩스 사진을 사용하면 표면 결함이 발생할수 있습니다."
|
||||
"부드러운 모드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."
|
||||
|
||||
#, c-format, boost-format
|
||||
msgid "Loading file: %s"
|
||||
|
@ -4503,8 +4510,7 @@ msgid ""
|
|||
"The 3mf's version %s is newer than %s's version %s, Found following keys "
|
||||
"unrecognized:"
|
||||
msgstr ""
|
||||
"3mf의 버전 %s이(가) %s의 버전 %s보다 최신입니다. 인식할수 없는 다음 키를 찾았"
|
||||
"습니다:"
|
||||
"3mf의 버전 %s이(가) %s의 버전 %s보다 최신입니다. 인식할수 없는 다음 키를 찾았습니다:"
|
||||
|
||||
msgid "You'd better upgrade your software.\n"
|
||||
msgstr "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좋습니다.\n"
|
||||
|
@ -4649,8 +4655,7 @@ msgstr "슬라이싱 오류를 해결하고 다시 시도하십시오."
|
|||
msgid ""
|
||||
"Network Plug-in is not detected. Network related features are unavailable."
|
||||
msgstr ""
|
||||
"네트워크 플러그인이 감지되지 않습니다. 네트워크 관련 기능을 사용할수 없습니"
|
||||
"다."
|
||||
"네트워크 플러그인이 감지되지 않습니다. 네트워크 관련 기능을 사용할수 없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Preview only mode:\n"
|
||||
|
@ -4763,7 +4768,8 @@ msgstr "슬라이스 파일을 다음으로 저장:"
|
|||
msgid ""
|
||||
"The file %s has been sent to the printer's storage space and can be viewed "
|
||||
"on the printer."
|
||||
msgstr "%s 파일이 프린터의 저장 공간으로 전송되었으며 프린터에서 볼수있습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%s 파일이 프린터의 저장 공간으로 전송되었으며 프린터에서 볼수있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Unable to perform boolean operation on model meshes. Only positive parts "
|
||||
|
@ -4851,8 +4857,8 @@ msgid ""
|
|||
"still want to do this printing, please set this filament's bed temperature "
|
||||
"to non zero."
|
||||
msgstr ""
|
||||
"% d: %s베드는 %s(%s)필라멘트를 출력하는데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 이 출"
|
||||
"력을 계속하려면 이 필라멘트의 베드 온도를 0이 아닌 값으로 설정하십시오."
|
||||
"% d: %s베드는 %s(%s)필라멘트를 출력하는데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 "
|
||||
"이 출력을 계속하려면 이 필라멘트의 베드 온도를 0이 아닌 값으로 설정하십시오."
|
||||
|
||||
msgid "Switching the language requires application restart.\n"
|
||||
msgstr "언어를 전환하려면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.\n"
|
||||
|
@ -4923,7 +4929,8 @@ msgstr "마우스 위치로 확대"
|
|||
msgid ""
|
||||
"Zoom in towards the mouse pointer's position in the 3D view, rather than the "
|
||||
"2D window center."
|
||||
msgstr "2D 윈도우 중앙이 아닌 3D 보기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로 확대합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2D 윈도우 중앙이 아닌 3D 보기에서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로 확대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Show \"Tip of the day\" notification after start"
|
||||
msgstr "시작 후 \"오늘의 팁\" 알림 표시"
|
||||
|
@ -4962,23 +4969,19 @@ msgid "Associate .3mf files to OrcaSlicer"
|
|||
msgstr ".3mf 파일을 OrcaSlicer에 연결"
|
||||
|
||||
msgid "If enabled, sets OrcaSlicer as default application to open .3mf files"
|
||||
msgstr ""
|
||||
"활성화된 경우 OrcaSlicer를 기본 응용 프로그램으로 설정하여 .3mf 파일을 엽니다"
|
||||
msgstr "활성화된 경우 OrcaSlicer를 기본 응용 프로그램으로 설정하여 .3mf 파일을 엽니다"
|
||||
|
||||
msgid "Associate .stl files to OrcaSlicer"
|
||||
msgstr ".stl 파일을 OrcaSlicer에 연결"
|
||||
|
||||
msgid "If enabled, sets OrcaSlicer as default application to open .stl files"
|
||||
msgstr ""
|
||||
"활성화된 경우 OrcaSlicer를 기본 응용 프로그램으로 설정하여 .stl 파일을 엽니다"
|
||||
msgstr "활성화된 경우 OrcaSlicer를 기본 응용 프로그램으로 설정하여 .stl 파일을 엽니다"
|
||||
|
||||
msgid "Associate .step/.stp files to OrcaSlicer"
|
||||
msgstr ".step/.stp 파일을 OrcaSlicer에 연결"
|
||||
|
||||
msgid "If enabled, sets OrcaSlicer as default application to open .step files"
|
||||
msgstr ""
|
||||
"활성화된 경우 OrcaSlicer를 기본 응용 프로그램으로 설정하여 .step 파일을 엽니"
|
||||
"다"
|
||||
msgstr "활성화된 경우 OrcaSlicer를 기본 응용 프로그램으로 설정하여 .step 파일을 엽니다"
|
||||
|
||||
msgid "Online Models"
|
||||
msgstr "온라인 모델"
|
||||
|
@ -5000,7 +5003,8 @@ msgstr "자동 백업"
|
|||
|
||||
msgid ""
|
||||
"Backup your project periodically for restoring from the occasional crash."
|
||||
msgstr "간헐적인 충돌로부터 복원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프로젝트를 백업하십시오."
|
||||
msgstr ""
|
||||
"간헐적인 충돌로부터 복원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프로젝트를 백업하십시오."
|
||||
|
||||
msgid "every"
|
||||
msgstr "매"
|
||||
|
@ -5385,7 +5389,8 @@ msgstr "프린터가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동안 출력 작업을 보
|
|||
|
||||
msgid ""
|
||||
"The printer is executing instructions. Please restart printing after it ends"
|
||||
msgstr "프린터가 명령을 실행하고 있습니다. 종료 후 출력을 다시 시작하십시오"
|
||||
msgstr ""
|
||||
"프린터가 명령을 실행하고 있습니다. 종료 후 출력을 다시 시작하십시오"
|
||||
|
||||
msgid "The printer is busy on other print job"
|
||||
msgstr "프린터가 다른 출력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"
|
||||
|
@ -5437,7 +5442,8 @@ msgstr ""
|
|||
msgid ""
|
||||
"The printer firmware only supports sequential mapping of filament => AMS "
|
||||
"slot."
|
||||
msgstr "프린터 펌웨어는 필라멘트 => AMS 슬롯의 순차 매핑만 지원합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프린터 펌웨어는 필라멘트 => AMS 슬롯의 순차 매핑만 지원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An SD card needs to be inserted before printing."
|
||||
msgstr "출력하기 전에 SD 카드를 삽입해야 합니다."
|
||||
|
@ -5451,7 +5457,8 @@ msgstr "타임랩스를 녹화하려면 SD 카드를 삽입해야 합니다."
|
|||
msgid ""
|
||||
"Cannot send the print job to a printer whose firmware is required to get "
|
||||
"updated."
|
||||
msgstr "펌웨어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프린터로 출력 작업을 보낼수 없습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펌웨어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프린터로 출력 작업을 보낼수 없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Cannot send the print job for empty plate"
|
||||
msgstr "빈 베드에 대한 출력 작업을 보낼수 없습니다"
|
||||
|
@ -5500,11 +5507,13 @@ msgstr ""
|
|||
|
||||
msgid ""
|
||||
"Please click the confirm button if you still want to proceed with printing."
|
||||
msgstr "그래도 출력을 계속하려면 확인 버튼을 클릭하십시오."
|
||||
msgstr ""
|
||||
"그래도 출력을 계속하려면 확인 버튼을 클릭하십시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Connecting to the printer. Unable to cancel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."
|
||||
msgstr "프린터에 연결 중입니다. 연결 진행 중에는 취소할수 없습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프린터에 연결 중입니다. 연결 진행 중에는 취소할수 없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Preparing print job"
|
||||
msgstr "출력 작업 준비 중"
|
||||
|
@ -5519,8 +5528,7 @@ msgid ""
|
|||
"Caution to use! Flow calibration on Textured PEI Plate may fail due to the "
|
||||
"scattered surface."
|
||||
msgstr ""
|
||||
"사용상의 주의! Textured PEI 베드의 압출량 교정은 표면이 분산되어 실패할 수 있"
|
||||
"습니다."
|
||||
"사용상의 주의! Textured PEI 베드의 압출량 교정은 표면이 분산되어 실패할수 있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Automatic flow calibration using Micro Lidar"
|
||||
msgstr "Micro Lidar를 사용한 자동 압출량 교정"
|
||||
|
@ -5855,8 +5863,8 @@ msgid ""
|
|||
"Bed temperature when cool plate is installed. Value 0 means the filament "
|
||||
"does not support to print on the Cool Plate"
|
||||
msgstr ""
|
||||
"쿨 베드 설치 시 베드 온도. 값 0은 필라멘트가 쿨 베드에 출력하는 것을 지원하"
|
||||
"지 않음을 의미합니다"
|
||||
"쿨 베드 설치 시 베드 온도. 값 0은 필라멘트가 쿨 베드에 출력하는 것을 "
|
||||
"지원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Engineering plate"
|
||||
msgstr "엔지니어링 베드"
|
||||
|
@ -5865,7 +5873,7 @@ msgid ""
|
|||
"Bed temperature when engineering plate is installed. Value 0 means the "
|
||||
"filament does not support to print on the Engineering Plate"
|
||||
msgstr ""
|
||||
"엔지니어링 베드가 설치 시 베드 온도. 값 0은 필라멘트가 엔지니어링 플레이트에 "
|
||||
"엔지니어링 베드가 설치 시 베드 온도. 값 0은 필라멘트가 엔지니어링 베드에 "
|
||||
"출력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Smooth PEI Plate / High Temp Plate"
|
||||
|
@ -5886,8 +5894,8 @@ msgid ""
|
|||
"Bed temperature when Textured PEI Plate is installed. Value 0 means the "
|
||||
"filament does not support to print on the Textured PEI Plate"
|
||||
msgstr ""
|
||||
"텍스처 PEI 베드가 설치된 경우 베드 온도. 값 0은 필라멘트가 텍스처 PEI 플레이"
|
||||
"트에 출력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"
|
||||
"텍스처 PEI 베드가 설치된 경우 베드 온도. 값 0은 필라멘트가 텍스처 PEI 베드에"
|
||||
"출력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Volumetric speed limitation"
|
||||
msgstr "체적 속도 제한"
|
||||
|
@ -6278,8 +6286,8 @@ msgstr ""
|
|||
"래밍(Ramming)은 단일 압출기 다중 재료 프린터에서 툴 교체 직전의 급속 압출을 "
|
||||
"의미합니다. 필라멘트를 뺄때 끝 모양을 적절하게 형성하여 새 필라멘트의 삽입을 "
|
||||
"방해하지 않고 나중에 다시 삽입할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. 이 단계는 중요하며, "
|
||||
"좋은 모양을 얻으려면 재료마다 다른 압출 속도가 필요할수 있습니다. 이러한 이유"
|
||||
"로 래밍 중 압출 속도는 조정 가능합니다.\n"
|
||||
"좋은 모양을 얻으려면 재료마다 다른 압출 속도가 필요할수 있습니다."
|
||||
"이러한 이유로 래밍 중 압출 속도는 조정 가능합니다.\n"
|
||||
"\n"
|
||||
"이는 전문가 수준 설정이므로 잘못 조정하면 막힘, 필라멘트 갈림 등이 발생할수 "
|
||||
"있습니다."
|
||||
|
@ -6771,8 +6779,7 @@ msgid ""
|
|||
"One object has empty initial layer and can't be printed. Please Cut the "
|
||||
"bottom or enable supports."
|
||||
msgstr ""
|
||||
"개체 하나에 초기 레이어가 비어 있어 출력할수 없습니다. 바닥을 자르거나 지지대"
|
||||
"를 활성화하십시오."
|
||||
"개체 하나에 초기 레이어가 비어 있어 출력할수 없습니다. 바닥을 자르거나 서포트를 활성화하십시오."
|
||||
|
||||
#, boost-format
|
||||
msgid "Object can't be printed for empty layer between %1% and %2%."
|
||||
|
@ -6952,7 +6959,8 @@ msgstr "쓰기 호출 실패"
|
|||
#, boost-format
|
||||
msgid ""
|
||||
"%1% is too close to exclusion area, there may be collisions when printing."
|
||||
msgstr "%1% 가 제외 영역에 너무 가깝습니다. 출력시 충돌이 발생 할수 있습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%1% 가 제외 영역에 너무 가깝습니다. 출력시 충돌이 발생 할수 있습니다."
|
||||
|
||||
#, boost-format
|
||||
msgid "%1% is too close to others, and collisions may be caused."
|
||||
|
@ -6982,8 +6990,8 @@ msgid ""
|
|||
"together. Otherwise, the extruder and nozzle may be blocked or damaged "
|
||||
"during printing"
|
||||
msgstr ""
|
||||
"온도 차이가 큰 필라멘트를 여러 개 함께 출력할수 없습니다.그렇지 않으면 출력 "
|
||||
"중에 압출기와 노즐이 막히거나 손상될수 있습니다"
|
||||
"온도 차이가 큰 필라멘트를 여러 개 함께 출력할수 없습니다."
|
||||
"그렇지 않으면 출력 중에 압출기와 노즐이 막히거나 손상될수 있습니다"
|
||||
|
||||
msgid "No extrusions under current settings."
|
||||
msgstr "현재 설정에 압출기가 없습니다."
|
||||
|
@ -6992,15 +7000,13 @@ msgid ""
|
|||
"Smooth mode of timelapse is not supported when \"by object\" sequence is "
|
||||
"enabled."
|
||||
msgstr ""
|
||||
"시간 경과의 유연 모드는 \"개체별\" 출력순서가 활성화된 경우 지원되지 않습니"
|
||||
"다."
|
||||
"시간 경과의 유연 모드는 \"개체별\" 출력순서가 활성화된 경우 지원되지 않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Please select \"By object\" print sequence to print multiple objects in "
|
||||
"spiral vase mode."
|
||||
msgstr ""
|
||||
"나선 꽃병 모드에서 여러 개체를 출력하려면 \"개체별\" 출력 순서를 선택하십시"
|
||||
"오."
|
||||
"나선 꽃병 모드에서 여러 개체를 출력하려면 \"개체별\" 출력 순서를 선택하십시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The spiral vase mode does not work when an object contains more than one "
|
||||
|
@ -7017,13 +7023,13 @@ msgid ""
|
|||
"While the object %1% itself fits the build volume, its last layer exceeds "
|
||||
"the maximum build volume height."
|
||||
msgstr ""
|
||||
"%1% 개체 자체가 빌드용량 맞지만 마지막 레이어가 최대 빌드용량 높이를 초과합니"
|
||||
"다."
|
||||
"%1% 개체 자체가 빌드용량 맞지만 마지막 레이어가 최대 빌드용량 높이를 초과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You might want to reduce the size of your model or change current print "
|
||||
"settings and retry."
|
||||
msgstr "모델 크기를 줄이거나 현재 출력 설정을 변경하고 다시 시도할수 있습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모델 크기를 줄이거나 현재 출력 설정을 변경하고 다시 시도할수 있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Variable layer height is not supported with Organic supports."
|
||||
msgstr "유기적 지원에서는 가변 레이어 높이가 지원되지 않습니다."
|
||||
|
@ -7053,7 +7059,8 @@ msgstr ""
|
|||
msgid ""
|
||||
"The prime tower requires that all objects are sliced with the same layer "
|
||||
"heights."
|
||||
msgstr "프라임 타워는 모든 개체가 동일한 레이어 높이로 슬라이스되어야 합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프라임 타워는 모든 개체가 동일한 레이어 높이로 슬라이스되어야 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The prime tower is only supported if all objects have the same variable "
|
||||
|
@ -7069,7 +7076,8 @@ msgstr "선 너비가 너무 큽니다"
|
|||
|
||||
msgid ""
|
||||
"The prime tower requires that support has the same layer height with object."
|
||||
msgstr "프라임 타워는 서포트가 개체와 동일한 레이어 높이를 갖도록 요구합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프라임 타워는 서포트가 개체와 동일한 레이어 높이를 갖도록 요구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Organic support tree tip diameter must not be smaller than support material "
|
||||
|
@ -7086,13 +7094,14 @@ msgstr ""
|
|||
msgid ""
|
||||
"Organic support branch diameter must not be smaller than support tree tip "
|
||||
"diameter."
|
||||
msgstr "유기체 서포트 가지 직경은 트리 서포트 끝 직경보다 작을수 없습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유기체 서포트 가지 직경은 트리 서포트 끝 직경보다 작을수 없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Support enforcers are used but support is not enabled. Please enable support."
|
||||
msgstr ""
|
||||
"서포트 강제가 사용되지만 서포트가 활성화되지 않습니다.서포트를 활성화하십시"
|
||||
"오."
|
||||
"서포트 강제가 사용되지만 서포트가 활성화되지 않습니다."
|
||||
"서포트를 활성화하십시오."
|
||||
|
||||
msgid "Layer height cannot exceed nozzle diameter"
|
||||
msgstr "레이어 높이는 노즐 직경을 초과할수 없습니다"
|
||||
|
@ -7161,7 +7170,8 @@ msgstr "코끼리 발 보정"
|
|||
msgid ""
|
||||
"Shrink the initial layer on build plate to compensate for elephant foot "
|
||||
"effect"
|
||||
msgstr "코끼리 발 효과를 보정하기 위해 베드의 초기 레이어를 축소합니다"
|
||||
msgstr ""
|
||||
"코끼리 발 효과를 보정하기 위해 베드의 초기 레이어를 축소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Slicing height for each layer. Smaller layer height means more accurate and "
|
||||
|
@ -7260,8 +7270,7 @@ msgid "Avoid crossing wall"
|
|||
msgstr "벽 가로지름 방지"
|
||||
|
||||
msgid "Detour and avoid to travel across wall which may cause blob on surface"
|
||||
msgstr ""
|
||||
"벽을 가로질러 이동하지 않고 우회하여 표면에 방울(Blob) 발생을 방지합니다"
|
||||
msgstr "벽을 가로질러 이동하지 않고 우회하여 표면에 방울 발생을 방지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Avoid crossing wall - Max detour length"
|
||||
msgstr "벽 가로지름 방지 - 최대 우회 길이"
|
||||
|
@ -7296,8 +7305,8 @@ msgid ""
|
|||
"Bed temperature for layers except the initial one. Value 0 means the "
|
||||
"filament does not support to print on the Engineering Plate"
|
||||
msgstr ""
|
||||
"초기 레이어를 제외한 레이어의 베드 온도. 값 0은 필라멘트가 엔지니어링 베드출"
|
||||
"력을 지원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"
|
||||
"초기 레이어를 제외한 레이어의 베드 온도. 값 0은 필라멘트가 엔지니어링 베드"
|
||||
"출력을 지원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Bed temperature for layers except the initial one. Value 0 means the "
|
||||
|
@ -7323,29 +7332,25 @@ msgid ""
|
|||
"Bed temperature of the initial layer. Value 0 means the filament does not "
|
||||
"support to print on the Cool Plate"
|
||||
msgstr ""
|
||||
"초기 레이어의 베드 온도. 값 0은 필라멘트가 쿨 베드 출력을 지원하지 않음을 의"
|
||||
"미합니다"
|
||||
"초기 레이어의 베드 온도. 값 0은 필라멘트가 쿨 베드 출력을 지원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Bed temperature of the initial layer. Value 0 means the filament does not "
|
||||
"support to print on the Engineering Plate"
|
||||
msgstr ""
|
||||
"초기 레이어의 베드 온도. 값 0은 필라멘트가 쿨 베드 출력을 지원하지 않음을 의"
|
||||
"미합니다"
|
||||
"초기 레이어의 베드 온도. 값 0은 필라멘트가 쿨 베드 출력을 지원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Bed temperature of the initial layer. Value 0 means the filament does not "
|
||||
"support to print on the High Temp Plate"
|
||||
msgstr ""
|
||||
"초기 레이어의 베드 온도입니다. 값 0은 필라멘트가 고온 베드 출력을 지원하지 않"
|
||||
"음을 의미합니다"
|
||||
"초기 레이어의 베드 온도입니다. 값 0은 필라멘트가 고온 베드 출력을 지원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Bed temperature of the initial layer. Value 0 means the filament does not "
|
||||
"support to print on the Textured PEI Plate"
|
||||
msgstr ""
|
||||
"초기 레이어의 베드 온도. 값 0은 필라멘트가 텍스처 PEI 베드 출력을 지원하지 않"
|
||||
"음을 의미합니다"
|
||||
"초기 레이어의 베드 온도. 값 0은 필라멘트가 텍스처 PEI 베드 출력을 지원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Bed types supported by the printer"
|
||||
msgstr "프린터가 지원하는 침대 유형"
|
||||
|
@ -7407,7 +7412,7 @@ msgid ""
|
|||
"bridge can get better quality for these part"
|
||||
msgstr ""
|
||||
"오버행 정도가 큰 다리나 오버행 벽을 출력할 때 출력물 냉각 팬을 이 속도로 강제"
|
||||
"합니다. 돌출부와 다리를 강제 냉각하면 이러한 부품의 품질이 향상될수 있습니다"
|
||||
"합니다. 오버행과 다리를 강제 냉각하면 이러한 부품의 품질이 향상될수 있습니다"
|
||||
|
||||
msgid "Cooling overhang threshold"
|
||||
msgstr "오버행 냉각 임계값"
|
||||
|
@ -7431,8 +7436,8 @@ msgid ""
|
|||
"calculated automatically. Otherwise the provided angle will be used for "
|
||||
"external bridges. Use 180°for zero angle."
|
||||
msgstr ""
|
||||
"다리채움 각도 재정의. 0°으로 두면 브리지 내부채움 각도가 자동으로 계산됩니"
|
||||
"다. 그렇지 않으면 제공된 각도가 외부 브리지 채움에 사용됩니다. 영각은 180°를 "
|
||||
"다리채움 각도 재정의. 0°으로 두면 브리지 내부채움 각도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."
|
||||
"그렇지 않으면 제공된 각도가 외부 브리지 채움에 사용됩니다. 영각은 180°를 "
|
||||
"사용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Bridge density"
|
||||
|
@ -7502,8 +7507,8 @@ msgid ""
|
|||
msgstr ""
|
||||
"상단 표면을 출력해야 하고 부분적으로 다른 레이어로 덮여 있는 경우 너비가 이 "
|
||||
"값 미만인 상단 레이어에서는 고려되지 않습니다. 이는 둘레로만 덮여야 하는 표면"
|
||||
"에서 '상단 둘레 하나'가 발동되지 않도록 하는 데 유용할수 있습니다. 이 값은 압"
|
||||
"출 너비의 mm 또는 % o로 설정됩니다.\n"
|
||||
"에서 '상단 둘레 하나'가 발동되지 않도록 하는 데 유용할수 있습니다."
|
||||
"이 값은 압출 너비의 mm 또는 % o로 설정됩니다.\n"
|
||||
"경고: 활성화된 경우, 의도치 않은 형상이 생성되는건 다음 레이어에 문자와 같은 "
|
||||
"일부 얇은 형상이 있기 때문입니다. 이러한 형상을 제거하려면 이 값을 0으로 설정"
|
||||
"하십시오."
|
||||
|
@ -7524,7 +7529,7 @@ msgid ""
|
|||
"Create additional perimeter paths over steep overhangs and areas where "
|
||||
"bridges cannot be anchored. "
|
||||
msgstr ""
|
||||
"가파른 돌출부와 다리를 고정할수 없는 지역 위에 추가 둘레 경로를 만듭니다. "
|
||||
"가파른 오버행과 다리를 고정할수 없는 지역 위에 추가 둘레 경로를 만듭니다. "
|
||||
|
||||
msgid "Classic mode"
|
||||
msgstr "클래식 모드"
|
||||
|
@ -7533,7 +7538,7 @@ msgid "Enable this option to use classic mode"
|
|||
msgstr "클래식 모드를 사용하려면 이 옵션을 활성화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Slow down for overhang"
|
||||
msgstr "돌출부에서 감속"
|
||||
msgstr "오버행에서 감속"
|
||||
|
||||
msgid "Enable this option to slow printing down for different overhang degree"
|
||||
msgstr "오버행 정도에 따라 출력 속도를 낮추려면 이 옵션을 활성화합니다"
|
||||
|
@ -7545,8 +7550,7 @@ msgid ""
|
|||
"Enable this option to slow printing down in areas where potential curled "
|
||||
"perimeters may exist"
|
||||
msgstr ""
|
||||
"주변이 말려 있을수 있는 영역에서 출력 속도를 낮추려면 이 옵션을 활성화하십시"
|
||||
"오."
|
||||
"주변이 말려 있을수 있는 영역에서 출력 속도를 낮추려면 이 옵션을 활성화하십시오."
|
||||
|
||||
msgid "mm/s or %"
|
||||
msgstr "mm/s or %"
|
||||
|
@ -7567,8 +7571,8 @@ msgid ""
|
|||
"Speed of internal bridge. If the value is expressed as a percentage, it will "
|
||||
"be calculated based on the bridge_speed. Default value is 150%."
|
||||
msgstr ""
|
||||
"내부 브리지 속도. 값을 백분율로 표시하면 외부 브리지 속도를 기준으로 계산됩니"
|
||||
"다. 기본값은 150%입니다."
|
||||
"내부 브리지 속도. 값을 백분율로 표시하면 외부 브리지 속도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"
|
||||
"기본값은 150%입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Brim width"
|
||||
msgstr "브림 너비"
|
||||
|
@ -7593,8 +7597,7 @@ msgid ""
|
|||
"A gap between innermost brim line and object can make brim be removed more "
|
||||
"easily"
|
||||
msgstr ""
|
||||
"가장 안쪽 브림 라인과 개체 사이에 간격을 주어 쉽게 브림을 제거 할수 있게 합니"
|
||||
"다"
|
||||
"가장 안쪽 브림 라인과 개체 사이에 간격을 주어 쉽게 브림을 제거 할수 있게 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Brim ears"
|
||||
msgstr "브림 귀"
|
||||
|
@ -7699,8 +7702,7 @@ msgid ""
|
|||
"Speed of exhuast fan during printing.This speed will overwrite the speed in "
|
||||
"filament custom gcode"
|
||||
msgstr ""
|
||||
"출력 중 배기 팬 속도. 이 속도는 필라멘트 사용자 정의 G코드의 속도를 덮어씁니"
|
||||
"다"
|
||||
"출력 중 배기 팬 속도. 이 속도는 필라멘트 사용자 정의 G코드의 속도를 덮어씁니다"
|
||||
|
||||
msgid "Speed of exhuast fan after printing completes"
|
||||
msgstr "출력 완료 후 환기 팬 속도"
|
||||
|
@ -7712,8 +7714,7 @@ msgid ""
|
|||
"Close all cooling fan for the first certain layers. Cooling fan of the first "
|
||||
"layer used to be closed to get better build plate adhesion"
|
||||
msgstr ""
|
||||
"베드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첫 레이어부터 특정 레이어까지의 모든 냉각 팬을 정지"
|
||||
"합니다"
|
||||
"베드의 안착력 향상을 위해 첫 레이어부터 특정 레이어까지의 모든 냉각 팬을 정지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layers"
|
||||
msgstr "레이어"
|
||||
|
@ -7767,8 +7768,8 @@ msgid ""
|
|||
"Add solid infill near sloping surfaces to guarantee the vertical shell "
|
||||
"thickness (top+bottom solid layers)"
|
||||
msgstr ""
|
||||
"경사진 표면 근처에 꽉찬 내부채움를 추가하여 수직 쉘 두께를 보장합니다(상단+하"
|
||||
"단 꽉찬 레이어)"
|
||||
"경사진 표면 근처에 꽉찬 내부채움를 추가하여 수직 쉘 두께를 보장합니다"
|
||||
"(상단+하단 꽉찬 레이어)"
|
||||
|
||||
msgid "Top surface pattern"
|
||||
msgstr "상단 표면 패턴"
|
||||
|
@ -7846,7 +7847,8 @@ msgstr "작은 둘레 임계값"
|
|||
|
||||
msgid ""
|
||||
"This sets the threshold for small perimeter length. Default threshold is 0mm"
|
||||
msgstr "작은 둘레 길이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합니다. 기본 임계값은 0mm입니다"
|
||||
msgstr ""
|
||||
"작은 둘레 길이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합니다. 기본 임계값은 0mm입니다"
|
||||
|
||||
msgid "Order of inner wall/outer wall/infil"
|
||||
msgstr "내벽/외벽/내부채움 순서"
|
||||
|
@ -7884,12 +7886,14 @@ msgstr "덮개까지의 높이"
|
|||
msgid ""
|
||||
"Distance of the nozzle tip to the lid. Used for collision avoidance in by-"
|
||||
"object printing."
|
||||
msgstr "노즐 끝에서 덮개까지의 거리. 개체별 출력에서 충돌 방지에 사용됩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노즐 끝에서 덮개까지의 거리. 개체별 출력에서 충돌 방지에 사용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Clearance radius around extruder. Used for collision avoidance in by-object "
|
||||
"printing."
|
||||
msgstr "압출기 주변의 회피 반경. 개체별 출력에서 충돌 방지에 사용됩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압출기 주변의 회피 반경. 개체별 출력에서 충돌 방지에 사용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Extruder Color"
|
||||
msgstr "압출기 색상"
|
||||
|
@ -7921,7 +7925,8 @@ msgstr "PA 활성화"
|
|||
msgid ""
|
||||
"Enable pressure advance, auto calibration result will be overwriten once "
|
||||
"enabled."
|
||||
msgstr "PA를 활성화합니다. 활성화되면 자동 보정 결과를 덮어씁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PA를 활성화합니다. 활성화되면 자동 보정 결과를 덮어씁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Pressure advance(Klipper) AKA Linear advance factor(Marlin)"
|
||||
msgstr "PA(Klipper)/리니어 어드밴스(Marlin)"
|
||||
|
@ -8052,7 +8057,8 @@ msgstr "시작 시 빼기 속도"
|
|||
|
||||
msgid ""
|
||||
"Speed used for unloading the tip of the filament immediately after ramming."
|
||||
msgstr "래밍 직후 필라멘트 끝을 빼는 데 사용되는 속도입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래밍 직후 필라멘트 끝을 빼는 데 사용되는 속도입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Delay after unloading"
|
||||
msgstr "빼기 후 지연"
|
||||
|
@ -8220,7 +8226,8 @@ msgstr "내부채움 방향"
|
|||
msgid ""
|
||||
"Angle for sparse infill pattern, which controls the start or main direction "
|
||||
"of line"
|
||||
msgstr "선의 시작 또는 주 방향을 제어하는 드문 내부채움 패턴에 대한 각도"
|
||||
msgstr ""
|
||||
"선의 시작 또는 주 방향을 제어하는 드문 내부채움 패턴에 대한 각도"
|
||||
|
||||
msgid "Sparse infill density"
|
||||
msgstr "드문 내부채움 밀도"
|
||||
|
@ -8352,21 +8359,20 @@ msgid ""
|
|||
"Acceleration of sparse infill. If the value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(e."
|
||||
"g. 100%), it will be calculated based on the default acceleration."
|
||||
msgstr ""
|
||||
"드문 내부채움 가속도. 값이 백분율 (ex. 100%)로 표시되면 기본 가속도를기준으"
|
||||
"로 계산됩니다."
|
||||
"드문 내부채움 가속도. 값이 백분율 (ex. 100%)로 표시되면 기본 가속도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Acceleration of internal solid infill. If the value is expressed as a "
|
||||
"percentage (e.g. 100%), it will be calculated based on the default "
|
||||
"acceleration."
|
||||
msgstr ""
|
||||
"꽉찬 내부채움 가속도. 값이 백분율 (ex. 100%)로 표시되면 기본 가속도를 기준으"
|
||||
"로 계산됩니다."
|
||||
"꽉찬 내부채움 가속도. 값이 백분율 (ex. 100%)로 표시되면 기본 가속도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Acceleration of initial layer. Using a lower value can improve build plate "
|
||||
"adhensive"
|
||||
msgstr "초기 레이어 가속도. 낮은 값을 사용하면 베드 안착률을 높일수 있습니다"
|
||||
msgstr ""
|
||||
"초기 레이어 가속도. 낮은 값을 사용하면 베드 안착률을 높일수 있습니다"
|
||||
|
||||
msgid "Enable accel_to_decel"
|
||||
msgstr "가속/감속 활성화"
|
||||
|
@ -8380,7 +8386,8 @@ msgstr "가속/감속"
|
|||
#, c-format, boost-format
|
||||
msgid ""
|
||||
"Klipper's max_accel_to_decel will be adjusted to this %% of acceleration"
|
||||
msgstr "Klipper의 max_accel_to_decel은 가속도의 %%로 조정됩니다"
|
||||
msgstr ""
|
||||
"Klipper의 max_accel_to_decel은 가속도의 %%로 조정됩니다."
|
||||
|
||||
#, c-format, boost-format
|
||||
msgid "%%"
|
||||
|
@ -8416,7 +8423,7 @@ msgid ""
|
|||
"Height of initial layer. Making initial layer height to be thick slightly "
|
||||
"can improve build plate adhension"
|
||||
msgstr ""
|
||||
"초기 레이어의 높이입니다. 초기 레이어 높이를 약간 두껍게 하면 베드 접착력을 "
|
||||
"초기 레이어의 높이입니다. 초기 레이어 높이를 약간 두껍게 하면 베드 안착력을 "
|
||||
"향상시킬수 있습니다"
|
||||
|
||||
msgid "Speed of initial layer except the solid infill part"
|
||||
|
@ -8512,7 +8519,8 @@ msgstr "흐린 스킨 지점 거리"
|
|||
msgid ""
|
||||
"The average diatance between the random points introducded on each line "
|
||||
"segment"
|
||||
msgstr "각 선의 분절에 도입된 임의의 지점간 평균 거리"
|
||||
msgstr ""
|
||||
"각 선의 분절에 도입된 임의의 지점간 평균 거리"
|
||||
|
||||
msgid "Filter out tiny gaps"
|
||||
msgstr "작은 갭 필터링"
|
||||
|
@ -8548,9 +8556,7 @@ msgid "Add line number"
|
|||
msgstr "라인 번호 추가"
|
||||
|
||||
msgid "Enable this to add line number(Nx) at the beginning of each G-Code line"
|
||||
msgstr ""
|
||||
"각 G코드 라인의 시작 부분에 라인 번호(Nx)를 추가하려면 이 기능을 활성화하십시"
|
||||
"오"
|
||||
msgstr "각 G코드 라인의 시작 부분에 라인 번호(Nx)를 추가하려면 이 기능을 활성화하십시오"
|
||||
|
||||
msgid "Scan first layer"
|
||||
msgstr "첫 레이어 스캔"
|
||||
|
@ -8678,7 +8684,8 @@ msgstr "챔버 온도조절 지원"
|
|||
|
||||
msgid ""
|
||||
"This option is enabled if machine support controlling chamber temperature"
|
||||
msgstr "이 옵션은 기계가 챔버 온도 제어를 지원하는 경우 활성화됩니다"
|
||||
msgstr ""
|
||||
"이 옵션은 기계가 챔버 온도 제어를 지원하는 경우 활성화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Support air filtration"
|
||||
msgstr "공기 여과 지원"
|
||||
|
@ -8753,7 +8760,7 @@ msgid ""
|
|||
"Infill area is enlarged slightly to overlap with wall for better bonding. "
|
||||
"The percentage value is relative to line width of sparse infill"
|
||||
msgstr ""
|
||||
"내부채움 영역이 벽과 겹치도록 약간 확장되어 접착력이 향상됩니다. 드문 내부채"
|
||||
"내부채움 영역이 벽과 겹치도록 약간 확장되어 안착력이 향상됩니다. 드문 내부채"
|
||||
"움 선 너비의 백분율 값입니다"
|
||||
|
||||
msgid "Speed of internal sparse infill"
|
||||
|
@ -9003,7 +9010,7 @@ msgstr ""
|
|||
"\n"
|
||||
"고속, 고유량 직접 구동 프린터(예: Bambu lab 또는 Voron)의 경우 일반적으로 이 "
|
||||
"값이 필요하지 않습니다. 그러나 기능 속도가 크게 달라지는 특정 경우에는 약간"
|
||||
"의 이점을 제공할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돌출부로 인해 급격하게 감속이 발생하"
|
||||
"의 이점을 제공할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오버행으로 인해 급격하게 감속이 발생하"
|
||||
"는 경우입니다. 이러한 경우 약 300-350mm3/s2의 높은 값이 권장됩니다. 이렇게 하"
|
||||
"면 압력 전진이 더 부드러운 흐름 전환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만큼 충분히 매끄"
|
||||
"러워질수 있기 때문입니다.\n"
|
||||
|
@ -9177,7 +9184,7 @@ msgid "Make overhang printable"
|
|||
msgstr "오버행 형상 변경"
|
||||
|
||||
msgid "Modify the geometry to print overhangs without support material."
|
||||
msgstr "서포트 없이 돌출부를 출력하도록 형상을 수정합니다."
|
||||
msgstr "서포트 없이 오버행를 출력하도록 형상을 수정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Make overhang printable maximum angle"
|
||||
msgstr "오버행 형상 변경 최대 각도"
|
||||
|
@ -9187,8 +9194,8 @@ msgid ""
|
|||
"printable.90° will not change the model at all and allow any overhang, while "
|
||||
"0 will replace all overhangs with conical material."
|
||||
msgstr ""
|
||||
"더 가파른 돌출부를 출력할수 있게 허용되는 돌출부의 최대 각도. 90°는 형상을 전"
|
||||
"혀 변경하지 않고 돌출부를 허용하는 반면, 0은 모든 돌출부를 원뿔형 재료로 대체"
|
||||
"더 가파른 오버행를 출력할수 있게 허용되는 오버행의 최대 각도. 90°는 형상을 전"
|
||||
"혀 변경하지 않고 오버행를 허용하는 반면, 0은 모든 오버행를 원뿔형 재료로 대체"
|
||||
"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Make overhang printable hole area"
|
||||
|
@ -9213,7 +9220,7 @@ msgid ""
|
|||
"speed to print. For 100%% overhang, bridge speed is used."
|
||||
msgstr ""
|
||||
"선 너비에 비례하여 오버행 백분율을 감지하고 다른 속도를 사용하여 출력합니다. "
|
||||
"100%% 돌출부의 경우 브리지 속도가 사용됩니다."
|
||||
"100%% 오버행의 경우 브리지 속도가 사용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Line width of inner wall. If expressed as a %, it will be computed over the "
|
||||
|
@ -9275,8 +9282,7 @@ msgid ""
|
|||
"Object will be raised by this number of support layers. Use this function to "
|
||||
"avoid wrapping when print ABS"
|
||||
msgstr ""
|
||||
"개체를 이 레이어수 많큼 들어올립니다. 이 기능을 사용하여 ABS 출력시 뒤틀림(워"
|
||||
"핑)을 방지합니다"
|
||||
"개체를 이 레이어수 많큼 들어올립니다. 이 기능을 사용하여 ABS 출력시 뒤틀림을 방지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G-code path is genereated after simplifing the contour of model to avoid too "
|
||||
|
@ -9382,8 +9388,7 @@ msgid ""
|
|||
"If you set this to a positive value, Z lift will only take place below the "
|
||||
"specified absolute Z."
|
||||
msgstr ""
|
||||
"이 값을 양의 값으로 설정하면 Z 올리기는 지정된 Z의 절대값 아래에서만 발생합니"
|
||||
"다."
|
||||
"이 값을 양의 값으로 설정하면 Z 올리기는 지정된 Z의 절대값 아래에서만 발생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On surfaces"
|
||||
msgstr "표면에서"
|
||||
|
@ -9392,8 +9397,7 @@ msgid ""
|
|||
"Enforce Z Hop behavior. This setting is impacted by the above settings (Only "
|
||||
"lift Z above/below)."
|
||||
msgstr ""
|
||||
"Z 올리기 동작을 수행합니다. 이 설정은 위의 설정의 영향을 받습니다(위에서/아래"
|
||||
"에서만 Z 올리기)."
|
||||
"Z 올리기 동작을 수행합니다. 이 설정은 위의 설정의 영향을 받습니다(위/아래에서만 Z 올리기)."
|
||||
|
||||
msgid "All Surfaces"
|
||||
msgstr "모든 표면"
|
||||
|
@ -9748,7 +9752,7 @@ msgid "Remove small overhangs"
|
|||
msgstr "작은 오버행 서포트 제거"
|
||||
|
||||
msgid "Remove small overhangs that possibly need no supports."
|
||||
msgstr "서포트가 필요하지 않은 작은 돌출부에서 서포트를 제거합니다."
|
||||
msgstr "서포트가 필요하지 않은 작은 오버행에서 서포트를 제거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Top Z distance"
|
||||
msgstr "상단 Z 거리"
|
||||
|
@ -9775,7 +9779,8 @@ msgstr ""
|
|||
msgid ""
|
||||
"Line width of support. If expressed as a %, it will be computed over the "
|
||||
"nozzle diameter."
|
||||
msgstr "서포트의 선 너비. %로 입력 시 노즐 직경에 대한 비율로 계산됩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서포트의 선 너비. %로 입력 시 노즐 직경에 대한 비율로 계산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Interface use loop pattern"
|
||||
msgstr "접점에서 루프 패턴 사용"
|
||||
|
@ -9909,7 +9914,8 @@ msgstr "임계값 각도"
|
|||
msgid ""
|
||||
"Support will be generated for overhangs whose slope angle is below the "
|
||||
"threshold."
|
||||
msgstr "경사각이 임계값 미만인 돌출부에 서포트가 생성됩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경사각이 임계값 미만인 오버행에 서포트가 생성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Tree support branch angle"
|
||||
msgstr "트리 서포트 가지 각도"
|
||||
|
@ -9919,7 +9925,7 @@ msgid ""
|
|||
"tree support allowed to make.If the angle is increased, the branches can be "
|
||||
"printed more horizontally, allowing them to reach farther."
|
||||
msgstr ""
|
||||
"이 설정은 트리 서포트의 가지가 만들수 있는 돌출부의 최대 각도를 결정합니다. "
|
||||
"이 설정은 트리 서포트의 가지가 만들수 있는 오버행의 최대 각도를 결정합니다. "
|
||||
"각도가 증가하면 가지가 멀리까지 닿을수 있도록 더 수평으로 출력될수 있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Preferred Branch Angle"
|
||||
|
@ -9940,7 +9946,8 @@ msgstr "트리 서포트 가지 거리"
|
|||
|
||||
msgid ""
|
||||
"This setting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tree support nodes."
|
||||
msgstr "이 설정은 인접한 트리 서포트 지점 간의 거리를 결정합니다."
|
||||
msgstr ""
|
||||
"이 설정은 인접한 트리 서포트 지점 간의 거리를 결정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Branch Density"
|
||||
msgstr "가지 밀도"
|
||||
|
@ -9974,7 +9981,8 @@ msgstr "트리 서포트 자동 브림 너비"
|
|||
msgid ""
|
||||
"Enabling this option means the width of the brim for tree support will be "
|
||||
"automatically calculated"
|
||||
msgstr "옵션을 활성화하면 트리 서포트의 브림 너비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"
|
||||
msgstr ""
|
||||
"옵션을 활성화하면 트리 서포트의 브림 너비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"
|
||||
|
||||
msgid "Tree support brim width"
|
||||
msgstr "트리 서포트 브림 너비"
|
||||
|
@ -10204,8 +10212,8 @@ msgid ""
|
|||
"wipe tower. These values are used to simplify creation of the full purging "
|
||||
"volumes below."
|
||||
msgstr ""
|
||||
"이 벡터는 닦기 타워에서 사용되는 각 툴을 교체하는 데 필요한 용량을 저장합니"
|
||||
"다.이러한 값은 아래의 전체 청소 용량 생성을 단순화하는 데 사용됩니다."
|
||||
"이 벡터는 닦기 타워에서 사용되는 각 툴을 교체하는 데 필요한 용량을 저장합니다."
|
||||
"이러한 값은 아래의 전체 청소 용량 생성을 단순화하는 데 사용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"
|
||||
"Purging after filament change will be done inside objects' infills. This may "
|
||||
|
@ -10382,7 +10390,7 @@ msgid ""
|
|||
"expected to enhance adhesion."
|
||||
msgstr ""
|
||||
"첫 번째 레이어에 사용되는 최소 벽 너비는 노즐과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"
|
||||
"좋습니다. 이러한 조정을 통해 접착력이 향상될수 있습니다."
|
||||
"좋습니다. 이러한 조정을 통해 안착력이 향상될수 있습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Minimum wall width"
|
||||
msgstr "최소 벽 너비"
|
||||
|
@ -10728,8 +10736,7 @@ msgstr "서포트: 레이어 %d에서 가지 증식"
|
|||
msgid ""
|
||||
"Unknown file format. Input file must have .stl, .obj, .amf(.xml) extension."
|
||||
msgstr ""
|
||||
"알수 없는 파일 형식: 입력 파일의 확장자는 .stl, .obj 또는 .amf(.xml)여야 합니"
|
||||
"다."
|
||||
"알수 없는 파일 형식: 입력 파일의 확장자는 .stl, .obj 또는 .amf(.xml)여야 합니다."
|
||||
|
||||
msgid "Loading of a model file failed."
|
||||
msgstr "모델 파일 로드에 실패했습니다."
|
||||
|
@ -10945,7 +10952,7 @@ msgstr ""
|
|||
"부분의 경우 좋은 결과를 얻을수 있습니다.\n"
|
||||
"\n"
|
||||
"교정 결과를 신뢰할수 없게 만드는 몇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. 텍스처 베드를 사용"
|
||||
"하여 보정을 수행합니다. 베드의 접착력이 좋지 않습니다. (베드를 세척하거나 풀"
|
||||
"하여 보정을 수행합니다. 베드의 안착력이 좋지 않습니다. (베드를 세척하거나 풀"
|
||||
"을 바르십시오!) ...위키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수 있습니다.\n"
|
||||
"\n"
|
||||
"테스트에서 교정 결과에는 약 10%의 오차가 있으며, 이로 인해 각 교정에서 결과"
|
||||
|
|
Loading…
Add table
Add a link
Reference in a new issue